[Practical] Stray Light Analysis
이전까지 9.1, 9.2절을 통해서 Rhino와 ASAP에서 CAD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때는 CAD를 사용해서 ASAP에서 Ghost/Flare를 어떻게 분석하는지에 대한 간단한 흐름 정도를 확인 하는 수준이었지, 초보자가 실무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제 처음부터 다시 하나하나 배워보자.
Note… |
실습을 위해서는 Lens design 파일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업에 있는 엔지니어가 아닌이상 실무에서 사용하는 도면 파일을 구하기란 무척 어렵다. 광학 엔지니어가 Code-V나 Zemax 프로그램을 통해서 Lens를 설계하고 나면, 기구 엔지니어의 추가적인 작업들을 통해서 최종 Lens assembly 도면이 만들어진다.
본 [Practical]과정은 이 최종 Lens assembly 도면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출발한다. |
[Practical Stray Light Analysis] Contents |
___ PSLA 1. AutoCAD에서 2D 도면 작성하기 ___ PSLA 2. Rhino에서 3D 도면 작성하기 ___ PSLA 3. ASAP에서 불러오기 ___ PSLA 4. cameraModule.inr 파일 작성하기 ___ PSLA 5. Ghost/Flare 분석을 위한 광원 생성하기 ___ PSLA 6. 반사/산란 조건 추가하기 ___ PSLA 7. Ghost/Flare 분석하기 |
그림 PSLA.1 Lens Assembly 도면
힘내세요^^ 훌륭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