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 파일로 관리하기
ASAP의 Workspace를 자세히 보면 SCR Input이라는 항목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SCR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그림 8.19 Workspace의 SCR Input 항목
우선 SCR Input 항목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New를 선택해서 새창을 하나 만들어 보자. 그리고, 앞의 프로그램에서 $SCR 다음 줄부터 $SCR과 관련된 내용을 잘라붙이기 하자.
Enter location along Z : ₩Z.3 ?
Enter RECTANGLE or ELLIPSE : ₩S” ? (RECTANGLE or ELLIPSE)
Enter Radius X : ₩R1 ?
Enter Radius Y : ₩R2 ?
Make 3D Plot : ₩PLOT3D: ?
SCR에 입력되는 내용은 모두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이제 Editor Toolbar에 있는 Save (그림 8.20의 디스켓 모양) 버튼을 눌러서 .scr 파일로 저장하자. 메인 윈도우의 메뉴바에서 File > Save 로도 저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File > Save As…로 저장하려고 하면 .inr 파일로 밖에 저장이 안된다. 저장은 꼭 .scr 파일로 저장이 되어야 한다. 꼭 확인하자.
파일 이름을 scr_script로 저장하자. 이 파일은 Working Directory 폴더에 저장된다.
$SCR과 관련된 내용을 scr_script.scr 파일로 넘겼기 때문에 원래의 SCR.inr 파일에는 더이상 $SCR과 관련된 내용이 필요없다. $SCR 다음줄부터의 복사한 내용은 모두 지우자. 그리고, $SCR 6 을 $SCR SCR_SCRIPT로 변경하자. 즉, 6줄을 의미하는 숫자 6 을 .scr 파일명인 SCR_SCRIPT로 변경하는 것이다. 그러면 $SCR은 이 파일을 찾아서 내용을 읽어 들인다. 이렇게 하면 SCR.inr 파일의 코딩이 아주 간단해진다. 더 좋은 장점은 이제 더이상 몇줄을 윈도우에 표시할지 계산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단지, scr_script.scr 파일에 내용을 작성하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단점도 있다. SCR.inr 파일과 함께 scr_script.scr 파일을 항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르고 Working Directory 안에 있는 파일을 지워버리기라도 한다면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군다나, 이런 파일들이 여러개 된다면 시간이 좀 지나면 뭐가 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해진다. 즉, 파일 관리가 너무 어려워질 수 있다. 그래서, 이 방법을 권하지는 않는다.
SYSTEM NEW
RESET
Z=0
S=”RECTANGLE“
R1=10
R2=10
PLOT3D=0
$SCR SCR_SCRIPT ‘Make Shape‘
$REG PLOT3D
SURFACE
OPTICAL Z (Z) S” (R1) (R2)
OBJECT ‘ASK_SHAPE’
WINDOW Y X
$IF (PLOT3D) EQ 1 THEN
{
PLOT FACETS
$VIEW
}
$ENDIF
RE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