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CHES 배열 만들기
앞에서 하나의 천을 가지고 놀았다면, 이번에는 3개의 천을 붙여서 놀아보자. 대신 천의 테두리 부분은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각각의 천을 이어서 붙여 놓았기 때문에 경계면은 서로 공유하여야 한다. 그림 7.11을 보면 3, 10, 17번 지점이 첫번째와 두번째 천을 서로 연결한 부위이며, 5, 12, 19번 지점이 두번째와 세번째 천을 연결한 부위가 된다. 그리고 3개의 천에는 각각 9, 11, 13번의 control points가 존재한다.
그림 7.11 PATCHES 배열에서의 POINTS 순서
그림 7.11은 2×2의 연결선을 가지는 천을 X축으로 3개 붙인 형상이다. 아래 프로그램은 21개의 POINTS를 찍어서 이를 구현하였다.
SYSTEM NEW
RESET
EDGE
POINTS 0 0 0 1, 1 0 0 1, 2 0 0 1, 3 0 0 1, 4 0 0 1, 5 0 0 1, 6 0 0 1
0 1 0 1, 1 1 1 2, 2 1 0 1, 3 1 –1 2, 4 1 0 1, 5 1 1 2, 6 1 0 1
0 2 0 1, 1 2 2 2, 2 2 0 1, 3 2 0 1, 4 2 0 1, 5 2 0 1, 6 2 0 1
PATCHES 2 2 3 1 !! columns 3, rows 1
OBJECT ‘PATCHES_CURVE’
WINDOW Y X
PLOT CURVES OVERLAY
PLOT FACETS 7 7
RETURN
9, 13번 control point는 Z축으로 +1에, 11번 control point는 Z축으로 -1에 위치시켰다. PATCHES 명령어로 배열을 만들게 되면 m n 값인 배열의 크기는 원하는 수만큼 확장할 수 있지만, k l 값인 Surface mesh는 2×2로 이 값을 각각의 천마다 달리 가져갈 수는 없게 되어있다. 만약 다른 크기의 연결선을 가지는 surface mesh를 만들고 싶다면 새로운 EDGE를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