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IC
그림 7.3과 같이 원뿔을 임의의 단면으로 절단한다고 생각해보자. 어떻게 절단하느냐에 따라 그 모양이 다 달라질 것이다. 그런데 이 잘라진 모양을 함수로 표한할 수는 없을까? 이때 쓰이는 것이 아래와 같은 Conic section에 대한 함수식이다.
A + Bx + Cy + Dx^2 + Exy + Fy^2 = 0
이 함수식 하나면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등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그럼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SYSTEM NEW
RESET
EDGE
CONIC Z 0 0 0 –2 1 0 1 X 0 1
WINDOW Y 0 1 X 0 1
PLOT CURVES
RETURN
실행 결과를 보면 (0,0)에서 시작해서 (1,1)에서 끝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시작점을 원점(0,0)으로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아래 프로그램은 y’의 start point of the curve (0,0)을 (0.3,0)으로 변경하였다.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결과를 확인해 보자.
SYSTEM NEW
RESET
EDGE
CONIC Z 0 0 0 –2 1 0 1 X 0.3 1 !! X 0 1을 X 0.3 1로 변경함
SWEEP AXIS 360 Y
OBJECT ‘CONIC_CURVE’
WINDOW Y 0 1 X 0 1
PLOT CURVES OVERLAY
PLOT FACETS
RETURN
그림 7.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curve의 안쪽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curve의 시작점을 0.3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생긴 구멍이다.
그림 7.5 Inner Hole이 있는 Conic 만들기
위에서 설명한 내용 외에도 더 많은 옵션들이 존재한다. 이 내용은 Breault의 Documents를 참조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