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ys의 특성 파악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분석작업에 들어가 보자. ASAP Simulation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우선 아래와 같이 간단한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서 시작하자. 아래 프로그램은 20um×20um의 사각형에서 전체 세기가 100Lumens인 100개의 Ray를 만들고 이것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SYSTEM NEW
RESET
UNITS UM ‘LUMENS’
WAVELENGTHS 550 NM
SURFACE
PLANE Z 0 RECT 10 10
OBJECT ‘EMITTING_PLANE’
EMITTING OBJECT EMITTING_PLANE 100
FLUX TOTAL 100
MISSED ARROW 10
PLOT FACETS OVERLAY
TRACE PLOT
RETURN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Command Input Window에 $VIEW 를 입력하거나 3D View 버튼을 눌러 3D로 Object를 확인해보자.
그림 12.12 Emitting_Plane 3D View
그림 12.12는 20×20의 Plane에서 나오는 100개의 Rays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 메뉴에서 Analysis > Calculate Flux…를 선택해 보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STATS 윈도우가 생성된다. 윈도우 안에는 3개의 라디오 버튼이 있으며 각각 Summary, Position, Direction 이다. 그림 12.14는 Summary가 선택된 경우이며, 이때 script는 STATS 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2.14 Calculate Flux Window
이 윈도우는 Radiometric / Photometric Definitions의 Radiant / Luminous Power (or Flux) 에 정의되어 있는 결과를 보는 방법이다.
OK 를 눌러보자.
— STATS
Object Rays Flux
0 100 100.0000
—————————–
TOTAL 100 100.0000
Object는 0번이며, 100개의 Rays가 100.0000Flux를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Position 버튼의 경우는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Script는 STATS POSITION 이다.
— STATS POSITION
Current Statistics for Object 0 –
Total Flux = 100.0000 from 100 rays –
X Y Z
Centroid: -.2542334 -.1995834E-02 0.1363845E-02
RMS Deviation: 5.808225 5.504644 0.4788663E-03
Maximum Spread: -8.725122 -9.933530 -.1290065E-02
to 9.501320 9.932283 0.6636070E-03
X, Y, Z 축에 따른 통계적인 중심점, 편차 그리고 최대 퍼짐정도를 보여준다. 앞에서 우리가 EMITTING_PLANE을 ±10×10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좌표축을 따라서 최대 10까지 퍼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Direction 버튼의 결과이다. Script는 STATS DIRECTION 이다.
— STATS DIRECTION
Current Statistics for Object 0 –
Total Flux = 100.0000 from 100 rays –
A B C
Centroid: 0.1641851E-01 -.1025499 0.9945924
RMS Deviation: 0.4412397 0.5472931 0.4017521
Maximum Spread: -.9773772 -.8797685 -.9584259
to 0.9061949 1.085190 -.7432539E-03
Position이 면을 의미 한다면, Direction은 방향을 의미한다. 라디안 좌표계로 A,B,C 좌표를 따라 중심점과, 편차 그리고 확산 각도를 나타낸다.
이것으로 우리가 만든 Rays의 개수가 몇개이며, 이들의 세기는 어떻고, 좌표는 어디에서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